지속가능한 감성공간

디자인하는 광고업자를 위한 시대 – 감성과 지속가능성을 담은 간판 전략

melovie 2025. 7. 1. 10:16
반응형

1. 간판은 이제 시공을 넘어 ‘기획’이다

과거의 옥외광고업은 “얼마나 크게, 얼마나 밝게”가 중심이었다.
하지만 최근 간판은 단지 주목성이 아니라 디자인, 감성, 지속가능성까지 고려하는 브랜드 도구가 되었다.

고객들은 이제 단순히 간판을 '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가게 이야기를 ‘전달’해줄 간판을 원한다.
이제 광고업자도 설계자, 디자이너, 브랜드 큐레이터로 진화해야 한다.

 

2. 요즘 고객이 원하는 간판은 무엇인가?

 ① 감성이 있는 간판

  • 단순한 문자 간판보다 손글씨, 이야기, 문장 간판 선호
  • SNS 시대에는 사진이 잘 나오는 간판, 공간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는 간판이 선택됨

 ② 브랜드를 담는 간판

  • 고객이 운영하는 업종, 가게 철학, 타깃층에 맞는 맞춤형 디자인 요청 증가
  • “이 간판은 누구의 것인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로고형, 심벌형 간판 선호

 ③ 지속가능한 간판

  • 친환경 재료, 적절한 밝기, 야간 자동 소등 등 ESG 관점 간판 요청 증가
  • 지역 조례나 공공디자인 기준을 고려한 합법적이고 품격 있는 간판 요청 확대

 

3. 옥외광고업자가 준비해야 할 실전 전략

 ① 간판 디자인 제안서 구성 방법

단순한 시안 1~2장이 아닌, 업종 맞춤형 설계 제안서가 요구됨

         항목                                              예시
업종 분석 서점, 카페, 공방, 미용실 등 특성 파악
타깃 고객 20~30대 여성, 가족 고객, 지역 주민 등
간판 유형 평면형, 세로형, 입간판, 무간판 형태
색상 / 서체 파스텔톤 + 손글씨체 / 모던 흑백 + 산세리프
재질 제안 목재, 철판, 무광 아크릴, 우레탄 시트 등
 

차별화 포인트: 디자인 3안 + 유지관리 방안 + 예산대별 구성 추천

 

② 최신 간판 트렌드와 소재

                         소재                                                       특징
FSC 인증 목재 친환경 인증, 따뜻한 질감
재활용 알루미늄 내구성, 경량성 우수
무광 아크릴 빛 반사 적고 고급스러움
바이오 플라스틱 생분해 가능 입간판 재료
섬유 강화 시트 접기/말기 쉬움, 비내림에도 강함
 

고객에게 소재 자체가 브랜딩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야 함

 

 ③ 빛의 설계: 조도와 방향이 경쟁력

  • 과도한 LED → 도시 미관 저해, 규제 대상
  • 제안 포인트:
    • 센서등 + 간접조명 + 야간소등 타이머
    • 낮은 전력 소모로 유지비 절감 + 환경 기준 만족
    • 가게 조명과 간판 조명의 온도 일치 추천 (예: 3000K)

 

4. 지역 조례와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함께 제시하자 :   광고업자는 행정 이해력도 필요하다.

 주요 대응 포인트

  • 옥외광고물법                   : 설치 위치·높이·조도 제한 등
  • 지자체 디자인 가이드라인 : 예: 성수동 간판조례, 전주 한옥간판 가이드
  • 간판 허가 프로세스 안내    : 자영업자에게 복잡한 허가 절차 대신 "이렇게 하면 됩니다"라는 친절한 안내가 곧 신뢰

간판하나로 시작하는 브랜드 디자인

5.  디자인하는 광고업자가 살아남는다

이제 간판은 단순한 표지판이 아니라
고객의 공간을 이야기하고, 도시를 책임지는 디자인의 일부다.

광고업자가 단순 시공자가 아닌

브랜드 파트너, 디자인 컨설턴트, 지속가능성 가이드로 거듭날 때
고객은 더 오래, 더 자주, 더 높은 단가로 광고를 의뢰한다.

고객은 당신에게 간판을 맡기는 것이 아니라
공간의 첫인상을 디자인하는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